We announce the ongoing business and related industry news from Suwan TPL.


수완TPL이 진행중인 사업들과 업계의 소식들을 알려드립니다.


5월 정기항로동향

NORTH AMERICA

무역분쟁에 중국발 물동량 4개월 연속 마이너스

미중 무역분쟁 여파로 중국발 미국행 물동량이 4개월 연속 뒷걸음질 쳤다.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의 관세율을 인상하면서 취항선사들의 긴장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미국 민간 통계서비스 데카르트 데이터마인에 따르면 4월 아시아 10개국발 미국행(수출항로) 컨테이너 수송량은 전년 동월 대비 2%증가한 126만TEU로 집계 됐다. 선적지 별로 보면 최대 수출국인 중국은 7.3%감소한 56만2000TEU로, 58%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2위 한국은 3.5%증가한 13만6000TEU, 3위 대만은 21% 증가한 8만TEU 4위 베트남은 33% 증가한 7만2000TEU를 달성했다. 운임은 미국 동안이 파나마운항청(ACP)의 흘수(배가 물에 가라앉는 깊이) 제한으로 상승곡선을 그린 반면, 서안은 40피트컨테이너(FEU)당 1500달러대를 밑돌며 정체를 보였으며, 선복난이 지속되고 있다. 선사들은 더욱 엄격해진 흘수 제한으로 100%의 소석률(선복 대비 화물 적재율)을 기록하였으며, 톤수 제한으로 실어야할 품목이 제한 되다보니 화물을 선적이월(롤오버)하느라 분주한 한 달을 보냈다.

선사들은 이달 진행한 운송계약(SC)이 지난해보다는 성공적 이었다고 입을 모았다. 북미 서안은 FEU당 1400~1600달러, 동안은 2500~2700달러로 전년보다는 높은 운임에서 계약이 이뤄졌다


EUROPE

선사들 잇따른 선복감축에 운임 상승반전

선사들의 계속된 선복 감축에 유럽항로 운임이 상승세로 돌아섰으며, 중국 춘절(설) 연휴 이후 블랭크세일링(임시휴항)에 돌입하며 약세시황을 타개하기 위한 노력을 전방위적으로 펼쳤다.

선사들은 전통적인 성수기를 맞아 서비스 정상화에 나섰으며, 임시결항이 끝나는 5월 말부터 선대 투입을 늘려 화물 유치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계획이다.

유럽수출항로 물동량은 두 자릿수의 감소세를 보였다. 영국 컨테이너트레이드스터티스틱스(CTS)에 따르면 2월 한 달 간 아시아 15개국발 유럽 54개국행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15% 감소한 103TEU를 기록했다. 유럽수입항로에서는 공급 부족이 심화되고 있다. 설 연휴 이후 선박 결항과 유럽지역의 악천후로 유럽발 아시아행 수입항로에서 선복난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 밖에 중량화물이 다수 선적된 것도 선복난에 영향을 미쳤다. 유로존 국가들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전년 대비 0.5%P 하락한 1.4%에 그칠것으로 내다보며 올해 아시아-유럽항로의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율을 3%로 전망했다.


MIDDLE EAST

라마단 영향으로 약세시황 연출

5월 중동항로는 이달 첫째 주부터 한 달 간 진행되는 라마단(이슬람 금식성월)과 건설 프로젝트 위축에 따른 수요부진으로 약세시황을 연출했다. 선사 관계자는 “5월 라마단 이후 이드 축제가 진행되는데 현지 업체들의 휴일이 모두 다르다”며 화물을 보내도 체화료(디머리지)가 발생할 수 있어 5월말까지 수출 물량이 줄어들 수 있다”고 말했다.

 중동항로는 주력 아이템인 프로젝트 물량이 좀처럼 늘어나지 않고 있다. 국내 대형건설사들이 쿠웨이트, 사우디 아라비아, 이라크 등에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사업이 주춤 하고 있어 선사들의 수출 물동량도 약세를 보이고 있다. 선사들의 소석률(선복 대비 화물적재율)은 70~90%대로 폭넓게 형성 됐으며, 라마단 영향에도 중동노선에 강세를 보이고 있는 선사들은 90%의 선복을 채우고 있고 6월 선사들은 블랭크세일링(임시휴항)을 진행하지 않겠다는 계획이다.

APL은 6월1일부로 중동항로에서 운임인상(GRI)을 실시한다. CMA CGM은 중동항로에서 품목무차별운임(FAK)을 적용 했으며, 모든 아시아 항만에서 중동까지 TEU당 200달러의 운임이 적용됐다.

선사들은 이란 제재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핵 합의 탈퇴 이후 미국의 이란 제재 강화에 이어 최근 상선 피습 사건까지 발생하면서 양국을 둘러싼 갈등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물동량이 늘어날 기미는 보이지 않고 공급이 늘어난 상황에서 중동항로는 하반기에도 정치적 변수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LATIN AMERICA

믿었던 중국마저’ 수요부진에 운임약세 이어져

중남미항로 취항 선사들이 수요부진에 신음하고 있다. 중국 공장들이 노동절 장기 연휴로 생산을 멈췄고, 중남미 경기도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저월보다 수요 감소가 두드러지 지고 있다는 평가다. 일부 선사는 중국에서 한국을 거치지 않고 브라질로 직항하는 선박 한 적을 이달 임시결항(블랭크세일링)하는 등 운임 방어에 나섰으며, 한국발 운임도 중국의 침체를 여실히 반영하고 있다. 16일 현재 부산발 산투스행 해상운임은 TEU당 1000달러대를 형성하고 있고, 이달 운임 이상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남미서안도 멕시코를 제외하면 상황은 여의치 않다. 멕시코 노선은 기아차 공장과 주요 협력업체의 반조립제품(CKD)이 대거 실리며 매월 호조세를 띠고 있지만, 페루 칠레 등 주요 서안 국가들은 화물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카리브항로는 파나마운하의 수심문제로 인해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파나마운하를 지나는 선사들은 화물 적재중량을 TEU당 평균 8T(공케테이너 무게 포함) 미만으로 엄격하고 규제하고 있다. 선사들은 중량 규제로 화물 선적이 어려워진 만큼 운임이 오를 것으로 기대했지만 카리브지역의 수요 부진으로 역신장했다고 밝혔다.


AUSTRALIA

비수기여파 300弗 무너져···운임약세 이어질 듯 

호주항로가 계속되는 비수기에 20PT 컨테이너(TEU)당 300달러도 채 되지 않는 바닥시황을 연출하고 있다. 

전통적인 비수기인데다 호주 경기악화 등에 따른 수요 부진으로 현재의 저운임 기조가 한동안 이어질 거라는 분석이다. 

5월10일 상하이발 호주 멜버른행 해상운임은 20PT컨테이너(TEU)당 288.5달러를 기록해 중국 노동절 연휴 전인 4월26일 298.5달러를 기록 하였고,

연휴 전인 4월26일 298달러보다 10달러 하락했다. 지난 2월까지 500~600달러 대에 형성되던 이 항로 운임은 2월 중순 460달러대를 기록했고 3월에는 

300달러대까지 뒷걸음질 치며 매주 역신장했다. 중국의 수요부진은 한국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16일 현재 부산발 동호주(멜버른)행 운임은 TEU당 

300~400달러에 형성돼 있다. 선사들은 운임방어의 수단으로 임시결항(블랭크세일링)이라는 선복조절 카드를 꺼내들었다. 선사들은 블랭크세일링과 함께 

운임인상(GRI)도 계획하고 있지만, 비수기에 따른 수요부진으로 힘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일부 선사는 다음달 1일 운임인상에 재도전 할 예정이지만 쉽지 않을 

것으로 평가했다. 이 항로 소석률(화물적재율)은 아시아발(한국 포함) 기준 평균 80%대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선사 관계자는 “최근 호주 경기도 크게 악화된 

터라 수요부진이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SOUTH-EAST ASIA

연휴여파에 물량공백 심화···대형화주 수송입찰 예의주시

우리나라 어린이날과 중국 노동절 등 잇단 연휴 여파로 동남아항로 취항선사들이 물량공백에 시달린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항로의 수요 부진으로 해상운임은 인상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운임인상이 어려운 또 다른 이유는 선박 대형화에 따른 공급과잉을 꼽고 있다. 초대형 선박이 원양항로에 투입되면서 중대형급 선박들은 빠르게 전환배치(캐스케이딩)되고 있다. 동남아 항로에도 외국적 선사들을 중심으로 파나막스급 선박들이 하나둘 배선되고 있으며 베트남 호찌민은 늘어나는 수요에도 선복과잉에 따른 운임 출혈결쟁이 심화되면서 ‘계륵’노선으로 저락하고 있다. “베트남이 동남아항로에서 수출물동량이 가장 많은 곳 중 하나다보니 선사들이 앞다퉈 배를 대고 있다”며 선사들의 물량 나눠먹기가 심화돼 베트남 서비스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고 있다. 선사들은 이달 들어 국내 주요 대형화주들의 수송입찰을 준비하며 화주측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대형화주들은 계약조건으로 해상운송료에 유류할증료 터미널조작료 등 각종 부대운임을 포함하는 이른바 ‘총액운임’(올인레이트)을 요구하고 있다. 화주들이 정해진 한 해 예산에서 물류비를 지출하다보니 선사에게 계약운임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지만 해운업계는 운송원가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유류비를 별도로 수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CHINA

공정위 수사에 운임회복 노력 물거품

공정거래위원회는 5월7일부터 약 2주에 걸쳐 국적선사와 외국적 선사를 가리지 않고 현장조사를 벌였다. 국적선사는 흥아해운과 장금상선, 외국선사는 일본 오션네트워크익스프레스(ONE)를 제외하고 모두 수사 대상이 됐다. 공정위는 선사들을 방문해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영업담당자 핸드폰을 복사해 간 것으로 알려졌다. 선사 관계자는 “공정위에서 해운업계를 흔들어 놓는 바람에 요즘 운임에 대해서 말을 꺼내는 선사들이 한 곳도 없다”며 “현재 분위기로는 해운업을 계속 이어가기 어려운 상황” 이라고 말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중국 노동절 연휴 후유증으로 해운 수요도 부진한 모습이다. 지난 1일부터 5일까지 연휴 기간 동안 현지 공장 가동이 일제히 멈추면서 중국으로 들어가는 원부자재와 중국에서 나오는 소비재 화물들이 모두 급격한 하락세를 띠었다. 선사 관계자는 “5월 중반까지 노동절 후유증으로 선적 예약이 뚝 끊겼다가 4주째부터 다시 수요가 올라오고 있다”고 전했다. 1분기 한중항로 물동량은 수입화물의 호조로 상승탄력을 보여줬지만 한국에서 중국으로 나가는 수출항로는 사실상 정체 상태다. 비록 1분기에 소폭의 성장세를 띠었다고 하지만 이마저도 사드보복사태로 뒷걸음질 쳤던 지난해 실적을 비교한 것으로, 사드사태 이전인 2017년의 26만7603TEU과 비교하면 7.3% 후퇴했다. 선사 관계자는 “1분기보다 2분기에 수출물동량 흐름이 살아나는 모습을 보였는데 노동절 연휴로 다시 약세로 전환된 것 같다”며 전통적인 주력 품목인 레진(합성수지)이나 자동차화물의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Japan

골든위크 후유증 실링 달성률 저조

일본 골든위크 연휴가 한일항로에 예상보다 큰 내상을 입혔다. 지난해와 다르게 골든위크 연휴가 2주 가까이 진행되면서 4월 막판에 해운 수요가 뚝 끊겼다는 평가이며, 후유증은 5월 들어서도 이어지고 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연휴 동안 일본의 공장들이 대규모로 가동을 중단하면서 현지 수요가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며 골든위크 이후 흐름을 보면 수출보다 수입에서 약세가 두드러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5~6월 실링 달성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선사들은 상반기 마지막인 3기 실링을 97%로 정했다. 2기의 저조한 성적을 고려해 3기 실링은 90%대 초반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지만 선사들은 맹외(盟外) 선사로의 물량 이탈을 막기 위해 다소 높은 수준으로 최종 결정했다. 선사 관계자는 “실링을 강화해서 운임을 지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협의체에 가입하지 않은 선사들로 물량이 빠져나갈수 있다는 우려가 커 결국 다소 높은 수준으로 실링을 정했다”고 말했다.


RUSSIA

5월 들어 물동량 6% 성장

한러항로 물동량이 지난달과 비슷한 수준을 이어갔다. 5월 중순 현재 부산발 러시아 극동행 주간 컨테이너 물동량은 약 3400TEU를 기록했으며, 보스토치니로 수송된 물동량이 1800TEU, 블라디보스토크로 수송된 화물이 1500TEU 정도였다. 1년 전에 견줘 6% 정도 성장한 실적이다. 한러항로 주 평균 물동량은 지난 1월 3000TEU까지 떨어지다 2월에 3600TEU로 이후 3400~3500TEU대의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다. 항로 관계자는 “한러항로가 전통적으로 상반기 저조하다 하반기에 상승곡선을 그리는 모습을 보여왔던 터라 올해는 지난해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여 줄 거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AFRICA

한국발 서안행 2000弗 돌파···운임인상 성공적

아프리카항로는 서안의 강세, 동안과 남안의 부진으로 요약된다. 서안은 선사들의 연이은 운임인상(GRI)이 효력을 발휘하면서 20PT 컨테이너(TEU)당 2000달러대를 넘어선 반면 동안과 남안 운임은 세 자릿수에 머물러 있다.

지난해 11월 1000달러를 호가하다가 시나브로 떨어져 올해 1월 800달러대를 기록했고 3월이후부터는 600달러대에 안팎, 남안행 운임을 1000 한국발 운임은 이보다 낮은 편이다. 선사사들은 500달러부터 , CMA, CGM 6월부산-아프리카 서안에서 500달러 부산-아프리카 남안에서 400달러를 각각 인상한다고 화주측에 공지한 상태다.

 

0


SUWAN TPL. Co., Ltd.

Tel. ☎  +82-2-3452-1700 / Fax. +82-2-3452-2043 / shchoi.tpl@gmail.com
# 503 Geunsin Bldg, 16, Samgae-ro, Mapo-gu, seoul, South Korea Zip code 04173

(주)수완TPL

서울시 마포구 삼개로 16, 503호 (도화동 근신빌딩 신관)

대표전화 ☎ 02-3452-1700 /  팩스 02-3452-2043 /  shchoi.tpl@gmail.com


CopyrightⓒSuwan TPL.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