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수출항로 물동량 6개월 연속 역신장
아시아-유럽 간 수출항로 물동량이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들어 6개월 연속 하락 곡선을 그렸다.
영국 해운조사기관인 컨테이너트레이드스터티스틱스(CTS)에 따르면 7월 한 달 동안 아시아 16개국에서 유럽 53개국으로 수송된 컨테이너 물동량(잠정)은 141만6000TEU를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의 143만6000TEU에 견줘 1.4% 감소했다. 7월 실적으로만 보면 2016년 137만4000TEU 이후 6년 만의 최저치다.
유럽 수출항로 물동량은 올해 1월 155만TEU로, 2019년 1월의 161만TEU에 이어 역대 두 번째 실적을 낸 뒤 2월에 감소세로 돌아선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급격한 인플레이션에 따른 유럽지역 소비 부진이 해운 수요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전통적 성수기인 7월에도 대내외 경기 불안 요인을 극복하지 못했다.

선적 지역별로 보면, 점유율 1위의 중국(홍콩 포함)은 107만8900TEU로, 0.3% 성장한 반면 우리나라와 일본 대만 등의 동북아시아지역은 14% 감소한 14만3900TEU, 동남아시아지역은 0.3% 감소한 19만3200TEU를 각각 기록했다.
이로써 7개월간 누적 물동량은 941만4000TEU를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의 982만1000TEU에서 4.2% 감소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981만9000TEU)과 비교해도 4%대의 감소율을 보였다. 감염병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한 2020년(863만8000TEU)에 비해선 9% 늘어났다.
수요 약세에다 공급망 혼란의 진정으로 운임도 큰 폭으로 떨어졌다.
영국 해운조사기관인 드류리에 따르면 8월 평균 중국 상하이발 20피트 컨테이너(TEU) 운임은 네덜란드 로테르담행이 5360달러, 이탈리아 제노아행이 5990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달의 8090달러 7200달러에서 각각 34% 17% 하락한 수치다.
로테르담행 운임은 지난해 9월 8550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약세로 전환했다.
TS라인, 4번째 방콕막스선박 필리핀·호주항로 순환배선
대만 선사 TS라인은 방콕막스 신조선 시리즈의 마지막 선박을 아시아역내항로와 호주항로에 투입한다고 밝혔다.
TS라인은 지난달 23일 중국선박그룹(CSSC) 자회사인 황푸원충조선에서 건조한 1900TEU급 신조선 < TS자카르타 >(TS JAKARTA>의 온라인 명명식을 열고 곧바로 필리핀항로에 배선했다.
신조선은 길이 172m, 폭 27.5m, 수심 14.6m, 속도 18.5노트로,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에 대응해 탈황장치(스크러버)를 설치하고 에너지효율을 높였다. 1900TEU급 선박은 태국 방콕항에 기항할 수 있는 최대 선형으로, 일명 방콕막스로 불린다.
지난 2020년 중국 조선소에 발주한 방콕막스 4척 중 마지막 선박이다. < TS자카르타 >는 이달 초 남중국과 홍콩, 필리핀 마닐라를 잇는 MBX를 운항한 뒤 이어 중국과 호주 주요항을 연결하는 CA3에도 전환 배치됐다.
대만 선사는 앞서 지난 4월부터 8월까지 < TS나고야 > < TS샤먼 > < TS톈진 >호를 순차적으로 인도받아 역시 필리핀항로와 호주항로 등에 배선했다.
아울러 지난해 5월 추가로 발주한 1900TEU급 선박은 다음달 인도될 예정이다. 이 선박은 앞선 4척의 선박과 비교해 수송능력은 같지만 크기는 약간 작다.
알파라이너에 따르면 TS라인은 현재 50척 10만7300TEU의 선단을 운항해 세계 컨테이너선사 순위 19위에 올라 있다. 자사선 30척 7만3500TEU다.
올해 4분기에 2척, 2023년에 14척, 2024년 6척의 신조선을 인도받아 자사선대를 52척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 46개 항로를 운영 중이다.
**출처 : 코리아쉬핑가제트
유럽수출항로 물동량 6개월 연속 역신장
아시아-유럽 간 수출항로 물동량이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들어 6개월 연속 하락 곡선을 그렸다.
영국 해운조사기관인 컨테이너트레이드스터티스틱스(CTS)에 따르면 7월 한 달 동안 아시아 16개국에서 유럽 53개국으로 수송된 컨테이너 물동량(잠정)은 141만6000TEU를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의 143만6000TEU에 견줘 1.4% 감소했다. 7월 실적으로만 보면 2016년 137만4000TEU 이후 6년 만의 최저치다.
유럽 수출항로 물동량은 올해 1월 155만TEU로, 2019년 1월의 161만TEU에 이어 역대 두 번째 실적을 낸 뒤 2월에 감소세로 돌아선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급격한 인플레이션에 따른 유럽지역 소비 부진이 해운 수요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전통적 성수기인 7월에도 대내외 경기 불안 요인을 극복하지 못했다.
선적 지역별로 보면, 점유율 1위의 중국(홍콩 포함)은 107만8900TEU로, 0.3% 성장한 반면 우리나라와 일본 대만 등의 동북아시아지역은 14% 감소한 14만3900TEU, 동남아시아지역은 0.3% 감소한 19만3200TEU를 각각 기록했다.
이로써 7개월간 누적 물동량은 941만4000TEU를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의 982만1000TEU에서 4.2% 감소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981만9000TEU)과 비교해도 4%대의 감소율을 보였다. 감염병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한 2020년(863만8000TEU)에 비해선 9% 늘어났다.
수요 약세에다 공급망 혼란의 진정으로 운임도 큰 폭으로 떨어졌다.
영국 해운조사기관인 드류리에 따르면 8월 평균 중국 상하이발 20피트 컨테이너(TEU) 운임은 네덜란드 로테르담행이 5360달러, 이탈리아 제노아행이 5990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달의 8090달러 7200달러에서 각각 34% 17% 하락한 수치다.
로테르담행 운임은 지난해 9월 8550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약세로 전환했다.
TS라인, 4번째 방콕막스선박 필리핀·호주항로 순환배선
대만 선사 TS라인은 방콕막스 신조선 시리즈의 마지막 선박을 아시아역내항로와 호주항로에 투입한다고 밝혔다.
TS라인은 지난달 23일 중국선박그룹(CSSC) 자회사인 황푸원충조선에서 건조한 1900TEU급 신조선 < TS자카르타 >(TS JAKARTA>의 온라인 명명식을 열고 곧바로 필리핀항로에 배선했다.
신조선은 길이 172m, 폭 27.5m, 수심 14.6m, 속도 18.5노트로,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에 대응해 탈황장치(스크러버)를 설치하고 에너지효율을 높였다. 1900TEU급 선박은 태국 방콕항에 기항할 수 있는 최대 선형으로, 일명 방콕막스로 불린다.
지난 2020년 중국 조선소에 발주한 방콕막스 4척 중 마지막 선박이다. < TS자카르타 >는 이달 초 남중국과 홍콩, 필리핀 마닐라를 잇는 MBX를 운항한 뒤 이어 중국과 호주 주요항을 연결하는 CA3에도 전환 배치됐다.
대만 선사는 앞서 지난 4월부터 8월까지 < TS나고야 > < TS샤먼 > < TS톈진 >호를 순차적으로 인도받아 역시 필리핀항로와 호주항로 등에 배선했다.
아울러 지난해 5월 추가로 발주한 1900TEU급 선박은 다음달 인도될 예정이다. 이 선박은 앞선 4척의 선박과 비교해 수송능력은 같지만 크기는 약간 작다.
알파라이너에 따르면 TS라인은 현재 50척 10만7300TEU의 선단을 운항해 세계 컨테이너선사 순위 19위에 올라 있다. 자사선 30척 7만3500TEU다.
올해 4분기에 2척, 2023년에 14척, 2024년 6척의 신조선을 인도받아 자사선대를 52척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 46개 항로를 운영 중이다.
**출처 : 코리아쉬핑가제트